본문 바로가기
CS/기타

홈서버 구축기) 1. 네트워크 설계

by alpacadabra 2025. 3. 16.

홈서버 구축기

1. 네트워크 설계

2.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3. Proxmox 네트워크 설정

4. Proxmox VM 생성

 

미니 pc를 다루다가 문득 홈서버를 구축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nas는 있어도 잘 안쓰지만 홈서버는 왠지 잘 쓸 것만 같았다. 친구들과 같이 할 게임 서버도 열고, 웹 서버 클러스터링도 해보고, 리버스 프록시도 해보고... 좋은 경험이 될 것이라 확신했다.

 

그래서 무작정 시도해 보는 홈서버 구축기이다. 작성해 두면 누군가에게는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홈서버를 구축하기에 앞서 네트워크 설계부터 진행했다. 워낙 소규모인지라 설계는 어렵지 않았다.

 

기본적인 구상은 이러하다.

 

  • 사설 대역인 192.168.0.0/24를 192.168.0.0/25와 192.168.0.128/25로 서브넷팅하고, 전자는 사용자 대역, 후자는 서버 대역으로 사용할 것이다. 다른 사설 대역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자신이 필요한 호스트 수만큼 조절해서 사용하면 된다.
  • 원래는 공유기에서 대역을 나누려 했는데, 그 기능(VLAN)이 없는 모델인지라.. Proxmox 서버에서 나누도록 하였다.
  • 서버는 ubuntu server로 4개 정도를 고려하고 있다. 서버 대역의 3개는 도커 스웜으로 클러스터링을 할 것이고, 사용자 대역의 1개는 리버스 프록시 서버이자 Bastion 서버로 사용할 예정이다.

 

워낙 소규모라 굳이 대역을 나눌 필요가 있나 싶지만, 나중에 정책을 적용할 때 편리하기도 하고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을 듯하여 나누었다.

 

다음은 공유기와 Proxmox 서버를 설정하여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