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S/기타

홈서버 구축기) 2.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by alpacadabra 2025. 3. 16.

홈서버 구축기

1. 네트워크 설계

2. 공유기 네트워크 설정

3. Proxmox 네트워크 설정

4. Proxmox VM 생성

 

 

Proxmox 서버를 설치하기 전에 사용자 대역부터 설정하자. 

 

ipTIME GUI에 접속하여 관리도구 > 고급 설정 > 네트워크 관리 > 내부 네트워크 설정 탭에 들어간다.

 


 

내부 IP 주소는 192.168.0.1로,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128로 설정하고 적용을 누른다.

 

헷갈릴 수도 있지만 내부 IP 주소는 대역 자체가 아닌 공유기의 내부 주소를 의미한다.

 

어차피 인터넷으로 나가려면 공유기라는 GW를 거쳐야 하니, GW의 주소를 정의함으로써 내부 대역 또한 동시에 정의되는 것이다.

 


 

혹시 모를 IP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DHCP 서버 설정 탭에서 대여 범위를 변경한다.

 

필자는 192.168.0.2와 3를 Proxmox 서버의 IP로 계획하였으므로 192.168.0.4부터 192.168.0.126까지 할당하도록 하였다. (192.168.0.127은 브로드캐스트 주소이므로 불가능)

 

이후 적용을 누르고 우측 상단의 다시 버튼을 눌러 공유기를 재부팅한다. DHCP 풀을 초기화하기 위함이다.

 


 

공유기와 서버 대역은 한 홉 떨어져 있기 때문에 라우팅이 필요하다.

 

NAT/라우터 관리 > 라우팅 테이블 관리 탭에서 사진과 같이 정적 경로를 추가한다.

 

해당 경로는 192.168.0.128/25 네트워크로 향하는 패킷을 모두 192.168.0.2(Proxmox 서버)로 보낸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PC의 서브넷 마스크와 GW 주소가 제대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하자.

 

다음 글에서는 Proxmox 서버의 네트워크를 설정할 것이다.

댓글